제2인생이란 夫婦(부부) 두사람이 함께 시작해서 끝을 내는 人生의 過程(과정)을말합니다. 그런데 夫婦가 함께 살다가 어느 날 갑자기 상대를 喪失(상실)하게 되면,천하의 孤獨(고독)이 몰려올것입니다. 이런 人生의 허무함을 맛보지 않기 위해 神은 夫婦를 만들면서, 서로가 한 몸으로 人生을 살만큼 살면 죽음을부르게 하였는데, 幸福(행복)하고 깨끗한 마음으로 살아 온 사람에게 만 幸福한 죽음이찾아오게 한 것입니다. 그래서 第2人生을幸福하게 사는方法(방법) 몇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夫婦間(부부간)에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될 일. # 男便(남편)이 해서는 안될일 무단 외박, 無對話(무대화), 폭력, No Sex (노 섹스) (양보다 질적으로), 지나치게 고지식하거나 불필요한 말을 해서 아내에게 자극을 주는 일 # 아내가 해서는 안될일 男便(남편)의귀가가 늦을 때 시무룩한 표정, 男便(남편)이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에 대해 무관심, 의심을 하기 시작하면 모든 것이다 의심스러워지므로 항상 男便(남편)을 헐띁고 비판 하는 일, 주부의 웃는 얼굴은 가정을 밝게 하고, 아이들의 정신을 안정시키며. 夫婦間(부부간)에의심하고 사는 것 보다는 오히려 서로 속고 사는것이 편하고. 先進國(선진국)夫婦(부부)는 항상 같이 행동하기 때문에 년령 차이를 못 느낀다고 합니다. 2. 長壽者(장수자)가 되어야 합니다. 지저분하게 병마에 시달리면서 오래사는 長命者(장명자)가되지말고, 죽는 날까지健康(건강)하게 깨끗이살다가 죽는 長壽者(장수자)가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자식에게 財産(제산)을 남겨준다는 생각은 하지 말고, 자기 돈은 자기가 쓰면서 人生을 즐기는 쪽이 훨씬 낫다고 합니다. 또 싫은 일은억지로 하지 말고, 멋을 부리는 마음을 가지면 老化(노화)현상이늦쳐진다고 합니다. 3. 肉體的(육체적) 健康(건강) Check(체크)를 잘 해야 快老(쾌노)합니다. 사람 血管(혈관)의 길이는 지구 2바퀴 半(반)인100,000Km나 되고, 근육은 400개 정도인데이것을 보호하기 위해 每日(매일) 1萬步(만보)씩을걷는 게 最高(최고)라고합니다. 다음은 먹고 배설하는 일로서, 1日3食을 규칙적으로 하되, 배는 80%만 채우고, 鹽分(염분)은 1日 10gr 정도, 肉食(육식)은 기본인데 야채 (섬유질)를 필히 함께 먹어야 합니다. 韓國 成人(성인)의 경우, 小便(소변)은 一日 1,200~1,500cc를 배출해야 하나, 500cc 이하로 배출하면 尿毒(요독)증상이 생기고. 쾌변, 쾌뇨가 않되면서 대장암 전립선 비대현상을 일으킵니다. 사람의 뇌세포는 130억개 정도로 1日10만~20만개씩 죽는데, 20세를 頂点(정점)으로서서히 老化(노화)가촉진되어 갑니다. 그래서 노후에는對話(대화)나 독서, Game(게임), 호기심발휘, 외국어를 배우면, 기억력 감퇴 방지 또는 치매방지에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4. 精神的(정신적)健康(건강)을維持(유지)해야 젊음이 보장됩니다. 여기서最大(최대)의 敵(적)은스트레스이며, 스트레스가 많은 사람은 10年 이상 늙어 보입니다. 스트레스가 쌓인 사람은 위궤양이나심장병에 걸리기 쉽고, 당뇨병을 악화시키며, 心身症(심신증), 노이로제,우울증의 原因(원인)이 됩니다.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方法(방법) : 첫째, 신앙, 좌선,명상,서예,검도,등 無心(무심), 無我(무아),의 修養(수양)이 좋고, 둘째, 취미생활로 음악, 바둑, 장기, 등산, 낚시, 등 오락법이 있고, 셋째,수다를 떠는 것이나, 노래방, 디스코 등 發散(발산)방법이 있습니다. 이상의 내용을요약하면長命者(장명자)가 아닌 長壽者(장수자)로가는 방법을 찾는 것인데, 現代(현대) 醫學(의학)은치료의학에서 예방의학으로 다시 健康增進醫學(건강증진의학)으로 비약해 가고 있음을 참고하시기바랍니다. <옮긴글> |
'좋은글과영상 >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해도 마음은 풍요로운 사람들 (0) | 2018.07.16 |
---|---|
천 사람 중의 한 사람 (0) | 2018.07.15 |
오늘은 2018년7월3일 장마비가 내리고 있네요 (0) | 2018.07.04 |
다시 읽어도 좋은글 (0) | 2018.07.03 |
어머니의 위대한 사랑과 어머니 무덤 (0) | 2018.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