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 세종 IT 대왕님
♣ 아 ! 세종 IT 대왕님 ♣
![]() ![]() 중국인이
컴퓨터 자판을 치는 모습을 3만개가 넘는다는 한자를 --어떻게 좁은 자판에서 칠까?
한자를 자판에 나열하는 게 불가능하여 중국어 발음을
먼저 영어로 묘사해 알파벳으로 입력한 다음에,
단어마다 입력키를 눌러야 --화면에서 한자로 바뀐다. 불편한 게 더 있다.
같은 병음을 가진 글자가 20개 정도는 보통이다.
그 중에서 맞는 한자를 선택해야 한다.
한국의-- 인터넷 문화가 --중국을 앞선 이유 하나가
여기에 있다.
타이핑을 많이 하는 전문적 중국인들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나열한 또 다른 자판을 이용한다.
자판을 최대 다섯 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므로 오필자형(五筆字型)이라고 한다.
속도가 빠르지만
익히기 어려워 일반인은 못한다.
일본인은 어떨까? 컴퓨터 자판을 보니 역시 알파벳이다.
일본인들은
'世'를 영어로 'se'로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법을 쓴다.
각 단어가-- 영어 발음 표기에 맞게-- 입력해야 화면에서--'가나'로 바뀐다.
게다가 문장마다-- 한자가 있어
쉼없이 한자변환을 해줘야 하므로 속도가 더디다.
나아가 '추'로 발음되는 한자만 해도 '中'을 비롯하여 20개 이상이나 골라줘야 한다.
일본어는-- 102개의 '가나'를 자판에 올려
'가나'로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익숙해지기 어려워 이용도가 낮다.
이러니 인터넷 친화도가 한국보다 낮을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말레이시아처럼
언어가 여러 가지인 국가들은 컴퓨터 입력 방식 개발부터 골칫덩어리다.
24개의 자음과 모음만으로 자판 내에서 모든 문자 입력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한글은 --하늘의 축복이자-- 과학이다.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낼 때,
한글로-- 5초면 되는 문장을 중국, 일본 문자는 --35초 걸린다는 비교가 있다.
한글의 입력속도가
일곱 배 빠르다는 얘기다.
정보통신(IT) 시대에 --큰 경쟁력이다.
한국인이
부지런하고 급한 성격과
승부근성에 한글이 '디지털 문자'로서 세계 정상의-- 경쟁력이 있는 덕에 우리가 인터넷 강국이 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글로 된 인터넷 문자 정보의 양은
세계 몇번째는 된다. 10월 9일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날!
세종이 수백 년 뒤를 내다본
정보통신대왕이 아니었나 하는 감탄이 나온다.
26개인 알파벳은
한글과 같은-- 소라문자이고 조합도 쉽지만,
'a'라도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르고
나라별로 독음이 다른 단점이 있다.
그러나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 갖는다.
어휘 조합 능력도 가장 다양하다.
소리 표현만도
8800 여개여서
중국어의 400 여개, 일본어의 300 여개와 비교가 안 된다.
세계적 언어학자들은
한글이 가장 배우기 쉽고 과학적이어서
세계 문자 중 으뜸이라고 말한다.
'알파벳의 꿈'이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거의 0%인 세계 최저의 문맹률이 가능했고 이게 국가 발전의 원동력이었다.
한글은
발음기관의-- 모양까지 반영한-- 음성공학적 문자여서 세계의 언어를 다 표현해 낸다.
'맥도날드'를 중국은 ---<'마이딩로우'>, 일본은--<'마쿠도나르도'> 라고밖에
표현하지 못한다.
이것이 네팔 등의-- 문자가 없는 민족에게
한글로 문자를 만들어 주는 운동이 --추진되는 이유다.
외국인에게
5분만 설명하면 자신의 이름을 한글로 쓰게 할 수 있다.
한글은
기계적 친화력도 가장 좋아
정보통신시대의 준비된 문자다.
세계화의 잠재력이 적지 않다. 아~! 세종 IT 대왕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