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얘야 삼만원만 주고 가거라 ! "
"없어요 ! "
80살 넘은 아버지가 회사에 출근하는 아들에게
사정을 했건만 아들은 박정하게 거절을 하였다.
늙은 아버지는 이웃 노인들과 어울리다
얻어만 먹어온 소주를 한번이라도 갚아주고 싶었다.
설걷이를 하다가 부자간의 대화와 아버님의 그늘진
얼굴을 훔쳐본 며느리는 한참동안 무엇을 생각 하더니
밖으로 달려나갔다.
한참만에 뻐스를 막 타려는 남편을 불러 세워 숨찬
목소리로 손을 내밀었다.
"여보 ! 돈 좀 주고 가요 ! "
"뮈 하게 ? "
"얘들 옷도 사 입히고 여고 동창생 계 모임도 있어요 "
안 주머니 에서 오만원 가량을 꺼내 헤아리며
담배값이니 차비니 대포값이 어쩌니 하는것을 몽땅
빼앗아 차비만 주고 집으로 돌아왔다.
아파트 양지바른 벽에 기대어 하늘만 바라보는
시 아버지께 돈을 몽땅 내밀었다.
" 아버님 ! 이돈으로 소주도 드시고 잡수시고 싶을거
드시고 친구들과 대공원에도 가시고 마음대로 하세요."
연신 눈물이 쏟아 지려는 시 아버지는 며느리가
고마워서 말을 잊은체 어떻게 할지 몰랐다.
그날 저녁에 남편이 퇴근하고 돌아왔다.
그리고는 왜 얘들 얼굴에 꾸정물이 꼬질꼬질 하고
더럽느냐고 성화를 부렸다.
그 이튿날에도 또 그 이틀날도 아이들 꼬라지는 자꾸
더러워져가고 있었다.
새카만 손등이며 며칠전 까지만 해도 반드레 하던
아이들이 거지꼴로 변해가고 있었다.
남편은 화를 버럭내며 고함을 쳤다.
" 여편네가 하루종일 뮈 하길래 얘들 꼴을 저렇게
만들어 놓았느냐며 화를 냈다.
남편의 화난 소리를 듣고 있던 아내도 화를 내며
남편에게 소리를 질렀다.
" 저 얘들을 곱게 키워봤자 당신이 아버님께 냉정히
돈 삼만원 거절 했듯이 우리가 늙어서 삼만원만
달래도 안줄거 아니예요 ?
당신은 뭣 땜에 얘들을 깨끗이 키우려고 해요 ? "
아내에게 기가 질려버린 남편은
고개를 들지도 못하고 늙은 아버지 방문을 열었다.
늙은 아버지는 아들의 무정함을 잊은듯 어서 방으로
들어 오라고 하셨다.
늙은 아버지는
" 회사일이 고되지 않느냐며 환절기가
되었으니 감기 조심해야 한다 " 고
어린애 처럼 타이르는 것이었다.
아버지의 티없는 사랑에 아들은 그만 엎드려 엉엉
울고 말았다.
독일 속담에도 " 한 아버지는 열 아들을 키울수 있으나
열 아들은 한 아버지 봉양키 어렵다 " 는 말이 있다.
자식이 배 부르고 따뜻 한가를 늘 부모는 묻지만
부모의 배 고프고 추운것을 자식들이 마음에 두지 않는다.
자식들의 효성이 아무리 지극해도 부모의 사랑에는
미치지 못한다.
우리는 부모가 짐이 되고 효가 귀찮고 거치장 스럽게
생각되는 세상에 살고 있다.
그러나 효는 옛적부터 가족을 사랑으로 묶는
밧줄과 같은 것이다.
효의 씨앗을 심고 가꾸는 일은 부모가 자식에게
효를 내리 실천해 모범을 보이는 일이 꼭 필요하다고 하겠다.
<옮긴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