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世上) 사는 이야기는 누가 뭐래도 남이 해주는 게 아니고
자기 자신이 실천을 해야 하는 법...
꼭 지키며 남은 인생을 잘 살기 바란다고....
◈ 건강(健康) 이야기 ◈
1, 보약(補藥)보다 효과가 있는 것은 운동(運動)이다.
<하루1시간(時間) 땀나게>
2, 보약보다 효과(效果)가 있는 것은 음식(飮食) 잘 먹는 것이다.
<편식(偏食)은 안 됨.>
3, 보약보다 효과가 있는 것은 나쁜 버릇 고치기다.
<생활(生活) 습관(習慣)>
◈ 정신(精神) 이야기 ◈
1, 매사(每事)에 세 번 생각하고 세 번 인내(忍耐)하기.
<많은 실수(失手) 사고(事故)를 막는 비법 (秘法)이다.>
2, 내가 남보다 잘났다는 망상(妄想)은 버려라.
<절대로 잘난 게 아니다.>
3, 남의 잘못을 따지기 전에 내 잘못을 돌아보자.
<자기가 먼저 반성(反省)해야 한다.>
◈ 대인관계(對人關係) 이야기 ◈
1, 상대(相對)를 대접(待接)하라 그래야 내가 대접 받을 수 있다.
<상대의 인격(人格)을 존중(尊重) 하라는 말이다.>
2, 상대를 무시(無視)하면 또 하나의 적(敵)이 생긴 것과 같다.
<상대에게 주는 모멸감(侮蔑感), 상대방은 절대 잊지 않는다.>
3, 상대에게 내 속내를 보이지 말라.
<가벼운 행동은 훗날 내 약점(弱點)이 된다.>
◈ 친구(親舊) 이야기 ◈
1, 믿음과 신의(信義)가 있어야 한다.
<친구와 함께 술 마시고 즐긴다고 친구일까>
2, 거짓은 없는 진실(眞實)로 맺은 우정(友情)이어야 한다.
<친구는 진실이 친구라고 말한다.>
3, 친구의 흉은 내 흉으로 생각하고 내가 막아라.
<친구의 흉 바로 내 흉이라 생각해라.>
◈ 경제적(經濟的)인 이야기 ◈
1, 저축(貯蓄)은 꼭 해야 된다.
<살다보면 어려울 때가 반드시 있으니... >
2, 보증(保證)은 절대로 서주지 말라.
<목에 밧줄을 맨 것과 같다. 항상 불안(不安)과 위태(危殆)롭다.>
3, 기분 나는 대로 사업상(事業上) 약속(約束)은 하지 말라.
<약속은 반드시 빚이 된다.>
◈ 가족(家族) 이야기 ◈
1, 매사(每事)에 사랑이 담겨야 한다.
<가족에게 신의를 잃으면 모든 신용(信用)을 잃은 것과 같다.>
2, 가사(家事)의 일은 서로 돕는 다는 것이 필연(必然)이다.
<집안일 항상 내가 먼저다.>
3, 서로의 인격(人格)을 존중(尊重)하고 언행(言行)을 조심(操心)하여야 한다.
<가족 간에도 고운 말로 인격을 존중하자.>
◈ 세상(世上) 사는 이야기 ◈
1, 세상은 혼자 사는 게 아니라 모두 함께 사는 것이다.
<남에게 해(害) 끼치는 일, 내 욕심(慾心) 채우는 일 해서는 안 된다.>
2, 인생(人生) 사는 것은 세상 순리(順理)와 같다.
<한 달이 크면 한 달이 작다 고개를 넘으면 평지 (平地)가 있다.>
3, 세상사(世上事) 가장 안전(安全)한 방법(方法)은 정신(精神)을 차려 사는 법이다.
<내가 누구이며 어떤 위치(位置)에 있는가를 잊어서는 안 된다.>
남에게 하는 욕(辱) , 따져 보면 그 욕의 피해자(被害者)는 자신(自身)이다.
<다른 사람의 욕을 하고 있는 자기 자신을 생각해봐라.
그런 그 모습이 정말로 한심(寒心)하고 비참(悲慘)한 모습일 것이다.>
- < ‘詩庭 박태훈의 해학(諧謔)이 있는 아침’ 中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