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으로 인간의 희망은 질환이나 상처로 심신에 고통을 받지 않으며 청년기의 건강한 상태로 가능한 오래 행복하게 사는 것이다. 근래에 10088234라는 속어가 유행했는데 이 숫자를 풀어보면 태어나서 100세까지 팔팔하게 열심히 살다가 2,3일간 잠시 앓고 이 세상을 떠나는 것이 生老病死의 원칙에 의한 인생의 최선 과정이라는 것이다. 또 하나 인생의 소원은 자신의 후손을 성공적으로 양육하여 가문을 번성하게 하는 것이다. 포유동물중에서 인간은 유별나게 지구상에 오래 사는 능력을 타고 났다.인간의 수명을 70-80세라고 추정하면 코끼리(59년) 침판지(48년),고릴라(47년),비교하여 월등히 장수한다. 과학자들은 진화과정에서 인간의 두뇌가 다른 동물과 다르게 진화하여 문명을 창조하게 한 것과 두발로 서서 자유롭게 걸을 수 있는 것등이 중요한 이유라고 인정하고 있다. 다른 동물들은 새끼의 번식기가 지나면 짧은 기간내에 사망하는데 비해 인간은 번식기가 지나도 중년,노년기를 겪으며 더 오래 생존 하는 것이 특징이다. 문명과 인간수명 연장 :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서 인간의 평균수명이 근래에 현저히 연장되는 현상이 나타났다.몇 가지 이유를 살펴 보면 : (1) 균형,조화된 식단의 개선 (2) 공중위생 시설의 개선 (3) 신약개발로 불치병,난치병의 진단과치료가 가능하게 됨. (4) 의료기기와 치료 기술의 발전 (5)조기 진단과 예방의학의 발전 (6) 유아,노약자의 사망률 감소등을 들 수 있다. 국제연합(UN)기구에서 전 세계 인류의 체질과 평균수명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과거의 연령구분을 개정할 필요성을 느꼈디. 새 연령구분에 의하면 1-17세는 미성년,18-65세는 청년,66-78세는 중년,80-99세는노년,100세 이상은 장수 노인으로 분류했다. 특히 주목할 변화는 과거에 60세 이상 중년이 청년으로 그리고 노년과 노후년기가 현저하게 연장되었다는 것이다. 통계에 의하면 2013년 한국에서 100세이상 생존하는 남녀가 3,485명으로 나타나 있고 현재 미국에는 100세이상 인구가 8만명에 가까운 것으로 추산된다.이제까지 최장수를 누린 사람은 프랑스의 진 칼망트(Jeanne Calment)로 122세 164일(1875-1997)이다. 근래 문명의 발달은 인간수명을 계속 연장시켜서 바야흐로 장수의 정의를 의학적인 수명의 연장 뿐 아니라 신체와 정신이 건전하여 독립된 생활능력이 있는 건강한 상태를 가리키게 되었다. 요즈음 뉴스에는 100세를 넘긴 장수 노인이 근육 단련운동을 하고 댄스를 즐기는 동영상을 볼 수 있다.세계 다섯 장수촌 답사 연구 :
미국 지리학 협회 후원으로 세계에서 평균 수명이 높고100세 이상 장수 노인이 많은 다섯 지역을 선정하여세계 다섯 장수촌 답사 연구 :장수하는 노인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Zones Solution). Buettner, The Blue)
연구 대상 지역은 :
Residents of Okinawa, Sardinia, and Loma Linda, California, live longer, healthier lives than just about anyone else on Earth. What do they know that the rest of us don't?* 오끼나와(일본)
![]()
* 이까리아(그리스)
* 사르디니아(이태리)
*로마린다(미국)
* 니코이아 반도(코스타리카)이며
연구팀은 의사,영양사,인류학,노인학,전문가들로 구성하여
각 장수촌을 방문하였다.
이 팀은 장수촌의 역사적,환경적 특징과 장수노인들의 생활양식을
조사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이들이 종합한 재료를 기반으로 100세 이상
장수 노인들에게서 찾아낸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 일상생활에서 육체와 정신을 계속 활동시키는 것이 습관화 되어 있다.
예 : 육류는 주식이 아닌 보조 식품으로 일주일에 1,2회 섭취한다.
견과류와 식물성 단백질(콩제품,두부등)을 선호한다.
매일 식사량은 소식이 아닌 적당한 량을 2회
또는 3회에 나누어 섭취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한다.
* 좋은 풍속,문화를 존중하여 자손에게 전달 교육시킨다.
예 : 동서양에 공통적인 예의범절을 지키며 연장자를 공경하고 부양한다.
대부분 가족(자손)과 동거한다.
* 기족,친구,이웃,사회내에서 친교를 유지하며 활동에 참여한다.
예 : 자손의 성장,교육을 위하여 자문,후원한다.
친지와 사회모임에 참여한다.
* 매일 생활하는 의미와 목적을 의식적으로 계획하고
실천하도록 노력한다.
예 : 전날 밤에 다음날 할 일들을 계획한다. 자손 양육에 도움,
취미,오락,이웃 친지와의 주기적인 모임,등
* 종교 또는 신앙심이 인생의 기반이 되어 있다.
예 : 각 지역에서는 믿는 종교 또는 신앙에 모든 일상생활을 의존한다.
Mysteries of the Human Body
행복의 추구는 인생의 중요한 의미와 목적 :
최근 연구 결과에 의하면 행복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건강하고 장수하며 사회적으로 더 성공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생에서 가장 행복감을 느끼고 즐기는 연령이 70세 후반(중년기)
이라고 한다.세계 장수촌 연구 결과에서 우리는 장수 노인들의 일상생활 방식을
현 시대의 환경,필요와 요구에서 재조명한다면 이것이
바로 인생이 행복을 추구하는 길잡이이고 보범임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장수 하는 길 : 이제 우리의 인생에게,장수는 단지 생명이 노년기와
그 이상으로 연장된 것 뿐 아니라 건강(신체,정신,사회적,영적)을 유지하면서
행복한 생활을 즐기며 노력하는 과정을 말한다.
연장자의 노년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현대에서,건강과 행복은
종래 장수의 개념을 바꾸어 연장되고 있는 인생동안 더욱 의미있고
보람차게 사회에 공헌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것으로 받아 드려야 할 것이다.
시카고 중앙일보 이학박사 김 영대
(2015냔 12월 31일)
<옮긴글>
'자유게시판 > 자유게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끄러운 것으로 世界 1위가 韓國 이랍니다. (0) | 2016.01.07 |
---|---|
아름답게 늙는 지혜 (소노 아야코(曾野綾子) (0) | 2016.01.07 |
99의 노예(奴隸) (0) | 2016.01.05 |
애국가에 대하여 (0) | 2016.01.05 |
요실금 때문에 젖은 속옷 (0) | 2016.01.04 |